바로가기 메뉴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부석사

  •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부석사

사찰소개 자연환경 역사 가람배치 문화재 인물 설화 안내
부석사의 인물
의상대사 (義湘大師, 625~702년)
  • 의상대사 의상대사 진영
    (義湘大師, 625~702년)
  • 신라의 승려로 우리나라 화엄종(華嚴宗)의 개창조이다. 법명은 의상, 속성은 김씨이다.
    644년(선덕여왕13) 19세 때 경주 황복사(皇福寺)로 출가하였다. 650년 원효(元曉)와 함께 당나라로 유학을 떠났으나, 요동(遼東)에서 고구려의 군사에게 잡혀 첩자로 오인 받고 돌아왔다. 661년(문무왕 1) 당나라 사신을 따라 다시 유학을 떠났고, 양주에서 머무르다가 종남산(終南山) 지상사(至相寺)에서 중국 화엄종의 2대 조사인 지엄(智儼)으로부터 화엄사상을 배웠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의상은 671년(문무왕11)에 당나라 군대가 신라를 공격하려 한다는 소식을 알리기 위해 서둘러 귀국하였다고 한다. 신라로 돌아온 해에 낙산사(洛山寺)의 관음굴에서 관세음보살에게 기도를 드렸는데, 이때의 발원문인 『백화도량발원문(白花道場發願文)』은 그의 관음신앙을 알게 해준다.

    그 뒤 676년 부석사(浮石寺)를 세우기까지 화엄사상을 펼 터전을 마련하기 위해서 전국을 두루 찾아다녔다. 부석사를 비롯하여 전국에 10개의 사찰을 창건하였는데 화엄십찰(부석사·비마라사·해인사·옥천사·범어사·화엄사·보원사·갑사·국신사·청담사 등)이라 한다. 부석사에 터를 잡은 뒤로는 화엄신앙을 널리 전파하고 제자를 양성하였다. 제자로는 3,000명이 있었다고 하며, 오진(悟眞), 지통(智通), 표훈(表訓), 진정(眞定), 진장(眞藏), 도융(道融), 양원(良圓), 상원(相源), 능인(能仁), 의적(義寂) 등 10명의 ‘의상십철(義湘十哲)’이라 불리는 고승들이 있다.

    702년 세수 78세, 법랍 49년에 입적하였으며, 고려 숙종(肅宗)에게 ‘해동화엄시조원교국사(海東華嚴始祖圓敎國師)’라는 시호를 받았다.
    저서로는 『십문간법관(十門看法觀)』 1권, 『입법계품초기(入法界品鈔記)』 1권, 『소아미타의기(小阿彌陀義記)』 1권, 『화엄일승법계도』 1권, 『백화도량발원문』 1권 및 최근 발견된 『일승발원문(一乘發願文)』 등이 있다.
원융국사 결응 (圓融國師 決凝, 964~1053년)
  • 부석사원융국사비 부석사원융국사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7호)
  • 고려 전기의 승려로 법명은 결응, 원융은 시호이다. 부석사에 오래 머물며 가람을 정비하였다.

    12세에 용흥사(龍興寺)에서 출가하여, 복흥사(復興寺)에서 구족계를 받은 뒤 『대장경』을 공부하며 수행을 하였다. 991년 승과에 급제하여 대덕(大德)의 법계를 받았다.

    그 뒤 목종·현종·덕종·정종 등을 겪으며 큰 존경을 받았다. 현종 초 수좌(首座)가 되었고, 정종 초 승통(僧統)에 올랐으며, 1041년(정종7)에는 봉은사(奉恩寺)에서 왕사(王師)로 봉해졌다. 1043년 문덕전(文德殿)에서 비를 빌면서 『화엄경』을 강의하였는데, 이때 단비와 천화(天花)가 내렸다고 한다.

    1042년(정종8)에 ‘소나무와 칡덩굴이 있는 곳이 몸을 버릴 곳’이라 하고, 왕의 허락을 얻어 부석사(浮石寺)에 머물렀다. 이때 의상대사의 덕을 사모하여 대장경을 인출하고 부석사와 안국사(安國寺)에 나누어서 봉안하였다. 현재 부석사에 전해지고 있는 화엄경판은 이때의 것으로 추정된다.

    1047년(문종1) 봉은사에서 국사(國師)로 책봉되었으며, 말년에 고향에 절을 창건하자 문종은 화엄안국사(華嚴安國寺)라는 사액을 내렸다. 그 뒤 부석사에 머물다가 나이 90세, 법랍 78세로 입적하였다.

    문종은 원융이라는 시호를 내렸으며, 부석사에는 원융국사의 비가 남아있다. 제자로는 관증(觀證)·해수(海秀)·해원(海元)·연윤(聯胤) 등 1,438인이 있다.
※ 자료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문화재청